잡화/취업

[정보처리기사]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, 제약조건(키)

꾹꾹이 2022. 4. 7.
728x90

1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
 

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?

: 개체(Entity), 관계(Relationship)을 모두 릴레이션(Relation)이라는 로 표현한 것.

- 장점:간결하고 보기 편리, 달느 데이터베이스로 변환이 용이

- 단점: 성능이 다소 떨어짐

하얀모자님 블로그 참조

 

1. 튜플(Tuple):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 행(레코드), 속성의 모임, 튜플들은 모두 다르다. 

- 튜플의 수: 카디널리티(Cardinality) 또는 기수

 

2. 속성(Attribute): DB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(필드), 개체의 특성

 - 속성의 수: 디그리(Degree) 또는 차수

 

3. 도메인(Domain):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모든원자 값들의 집합

(학년이 취할 수 있는 도메인: 1,2,3)

(성별을 취할 수 있는 도메인 : 남, 여)

 

 

2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제약 조건

 

1. 키(Key):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튜플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튜플들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애트리뷰트

 

- 기본키(Primary Key): 후보키 중에서 선택한 주키(Main Key), null 값을 가질 수 없다. 동일한 값을 중복 저장 할 수 없다.

 - 외래키(Foreign Key): 관계를 맺고 있는 릴레이션에서 학생 릴레이션이 참조하고 있는 수강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같은 학생 릴레이션의 속성키

 - 슈퍼키(Super Key): 한 릴레이션 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

 

 

2. 무결성

 - 개체 무결성: 릴레이션에서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은 NULL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.

 - 참조 무결성: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한다.

   참조 릴레이션은 참조할 수 없는 외래키 값을 가질 수 없다.

 

 

 

참조: https://whitehats.tistory.com/29

 

댓글